본문내용

  • 기록정보 콘텐츠
  • 국회 주요 기록

국회 주요 기록 상세정보

기록으로 임시의정원을 돌아보다(2) - 일본수집기록을 중심으로

국회 주요 기록 상세정보 테이블입니다.
작성일 2019-03-20 조회수 1936
첨부파일
  1. 원문 이미지  기록으로 임시의정원을 돌아보다(2)-일본수집기록을 중심으로.pdf

기록으로 임시의정원을 돌아보다(2)

- 일본수집기록을 중심으로 -



 

일본 관동군 참모부 작성 불령선인단총람에 수록된 불령선인단세력비교도의 일부방위성 방위연구소 소장(1925. 3.)

※이미지를 클릭하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이하 동일)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중국 상해에 독립지사 29인이 모여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을 개원하고, 의결 과정을 거쳐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임시의정원은 독립운동사에 있어 중추기관 역할을 수행하면서 의회중심체제를 유지해간 조직체이다. 이러한 임시의정원의 활동과 관련하여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가 일본 현지에서 조사·발굴·수집한 기록물을 공개한다.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일본 외무성 외교사료관,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 등의 협조를 얻어 수집한 기록물은 임시의정원 및 임시정부 관련 문서, 당시 조선의 상황과 독립운동과 관련된 일본 측의 기사 및 기록 등이다. 이러한 기록물을 통해 독립지사들의 활동상과 임시의정원 및 임시정부 활동 내역과 변천과정을 알 수 있다.


. 수집 개요

 191931일 일제의 지배를 부정하고 조선은 독립국임을 천명한 독립선언 이후 국내외에는 상해 임시정부 외에도 한성 임시정부, 대한국민의회, 조선민국 정부 등 7개의 정부가 성립되었다. 상해 임시정부는 전국 13도 대표로 구성된 국민대회의 명의로 조직된 정통정부라는 점을 내세운 한성 임시정부를 계승하고, 입법기관인 상해 임시의정원을 기반으로 하여 19199월 합법적으로 통합정부로서 출범하였다임시의정원은 입법기구로서 예산 심의 등 국가의 중요 정책 사항을 의결하는 권한을 가졌으며 광복 후 비상국민회의, 국민회의를 거쳐 1948년 대한민국 국회로 그 법통이 계승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100주년을 맞이하며 현 국회의 뿌리가 되어 준 임시의정원의 기능과 역할, 활동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일본에 소장되어 있는 관련기록물을 수집하였다.

 

. 수집 대상

임시의정원의 기록물 중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자료는 회의록이다. 임시의정원 회의록은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근대적 의회정치의 실험을 보여주는 기록물이라는 점에서도 중요성을 지닌다. 기록 관리와 보존의 중요성을 알고 있던 임시의정원은 규정에 따라 속기록, 의사(議事), 비밀회의록, 전원위원회록, 기사(紀事)록의 5종 기록부로 나누어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 중 속기록은 가장 자세한 1차 기록으로 모든 기록의 기본이 되었다. 현재 총 39호분의 회의록 중 단편적인 내용인 것을 포함해서 37호분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이 기록에 의해 상해 임시정부가 3.1운동을 계승한 정통성 있는 정부임을 증명할 수 있게 되었다. 1927년에 생산된 제20회와 제21회 회의록은 현재까지 미 발굴 자료이다. 또한 비밀회의록과 전원위원회록은 현재 남아있는 것이 없다.

임시의정원 관련 문서 중 현존하는 문서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국회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문서’, 둘째는 한국연구원 소장본인 1919년도 완질(完帙) ‘기사록이다. 셋째는 당시의 신문이나 공보, 일제 측 정보자료에 포함된 내용에서 추출한 2차 자료들이다. 이 세 가지 자료에는 각각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우선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문서는 임시의정원이 생산한 회의록을 포함한 원문 사료로서 그 가치는 상당하지만 대부분이 1931년 이후에 생산된 것들이다. 또한 한국연구원 소장본 기사록은 임시정부의 수립 및 개조과정을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지만, 1919년도 생산문서에 한정되어 있으며 6회분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1920년대의 임시의정원 관련 자료는 대부분신한민보,독립신문,대한민국 임시정부 공보등의 신문이나 상해의 일본영사관이 본국 정부에 보고한 정보문서들 가운데서 추출한 2차 사료이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일본수집 기록물은 ‘1.조선민족운동연감-압수품목록관련 기록물’, ‘2.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 설립의 토대가 되어준 3.1운동 관련 기록물’, ‘3. 신문과 정보자료들 가운데서 추출할 수 있는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관련 기록물’, ‘4. 임시의정원 관련 인물의 활약상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 주요 수집 기록물


1.조선민족운동연감-압수품목록관련 기록물


1932430일 상해 일본총영사관 경찰부는 임시의정원 사무소를 겸하고 있던 대한교민단사무소를 급습하여 보관되어 있던 문서와 물품들 총 980여 점을 탈취했다. 그 내역은 상해 일본경찰부 제2과에서 편집하여 관련자들만 볼 수 있는 비밀자료로 간행한조선민족운동연감(1946)압수품목록에 교민단 자료, 임시의정원 및 임시정부 자료, 개인소장 자료(윤기섭, 장상국, 이유필, 김붕준, 이동녕 등), 미상자료로 나누어 실려 있다. 사무소의 압수수색으로 당시까지의 임시의정원 및 임시정부 관련 문서가 대다수 유실되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1919년에서 1931년까지의 임시의정원 관련 기록은 일본 측 생산문서나 신문을 이용한 2차 사료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우선 파악하고 압수품목록 중 단행본, 정기간행물, 지도 등을 중심으로 국내에 보유하고 있지 않은 자료를 검색하여청년세계,홍기일보,만몽현세도,상해상업명록지도4점을 일본에서 수집하였다. 이 중상해상업명록지도는 교민단 관련 자료이고 나머지 3점은 모두 생산연도 및 소지자 불명인 미상자료로 분류된 자료이다.


1) 상해상업명록지도

1930년 상해에 있던 중국상무선전사(中國商務宣傳社)에서 제작한 지도로당시 상해의 상업기구점포망당시 유행하는 브랜드의 경향 등을 담은 상업지도이다상해 교민단의 생활과 밀접한 자료로 추정된다.


 

 상해상업명록지도(1930)


●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소장

● 중국상무선전사 간행

● 상해 대한교민단 관련 자료로 당시 생활상황을 알 수 있음



2) 홍기일보

1930815일에 창간된 공산주의 계열 신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의 기관보이다. ‘신문은 일종의 계급투쟁의 도구라는 문구로 발행사를 썼을 만큼 노동자의 계급투쟁과 반제국주의 및 반군벌전쟁의 혁명운동을 발행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압수품목록에 홍기일보 15부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정기적인 홍기일보 구독을 통해 장개석의 동향, 공산당의 대처방안 및 방향 등을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홍기일보(1930)


●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소장

● 1930815일 창간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기관보

● 중국 국공 양당의 대결형세 분석 및 공산당 대처방안 파악을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성


3) 청년세계

1902청년사에서 간행한 일본월간지로 신체시, 단가, 와카(和歌)등의 운문과 산문으로 구성된 잡지이다. 발행사를 통해 초국가주의를 지향하며 반사회주의 계열로 현사회의 모순을 지적하며 군국주의자에 대한 우회적 저항을 표명하고 있다. 일본 내 지식인들의 동정을 살피며 그들과의 연계 가능성을 도모하고자 했던 지도부가 참고한 자료로 추정되며 10부 압수되었다고 한다. 국회도서관에서 국내 최초로 수집한 가치 있는 자료이다.


 

 청년세계(1902)


● 국회도서관 소장(2018년 구입)

● 국내 최초로 수집된 자료

● 1902613일 창간

● 초국가주의 지향파인 청년사간행

●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일본 내 지식인들과의 연계에 유용하게 활용되었던 자료로 추정


4) 만몽현세도

만주침략을 위해 제작된 1917년의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의만몽현세도193211일에 애독자 배포를 위해 제작된 조선일보의만몽현세도중 어느 것이 1932430일에 압수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조선일보판만몽현세도에는 당시 간도와 연해주 등 만몽지역의 우리 교민 인구수가 표기되어 있고, 남만주철도주식회사판은 당시 만주와 몽고의 정확한 지명 및 정세를 간단명료하게 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성격이 다르다.


 

 

만몽현세도(1917)

●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소장

● 1917년 동북아시아 연구가인 호시다케오(星武雄) 제작

● 남만주철도주식회사 조사과 간행

● 일본의 만주 침략을 위해 만주와 몽고의 당시 정세를 

명료하게 고증한 자료

만몽현세도(1932)

● 조선일보역사기념관 소장

● 193211일 조선일보사 제작·배포

● 만몽의 조선인 숫자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여 교포 분포상황을 나타냄

● 독립운동 지원하는 동포 확보에 유용한 자료로 추정



2. 3.1운동 관련 기록물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설립 배경에는 3.1운동이 존재한다. 3.1운동에 관해서는 다양한 문건이 수집되어 연구되고 있다. 국회도서관에서는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일본경찰신문에 포함된 3.1운동 관련 기사를 모아 번역함으로써 해당 연구 분야의 중요한 토대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일본경찰신문19065월에 창간된경찰신문의 후신으로, 93호부터 제호를 바꿨다. 국립국회도서관 관내 한정 열람 자료이지만 기관 홈페이지에서 각 호수의 목차를 검색, 열람할 수 있다.

이 자료들 중 1919년에서 1920년까지의 조선관련 주요기사 27건을 선별하여 번역하였다. 자세한 기사 내용은 4월 출간하는(대한민국 의회정치의 시작) 임시의정원 개원 100주년 기념 해제집 일본·대만(이하 해제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본경찰신문의 구독자는 일본 전역에서 근무하는 경찰관과 그 관계자로 그들에게 조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조선 관련 기사의 주목적이었다. 중요한 기사를 내용별로 구분하면 3.1운동의 원인 진단과 대책, 3.1운동 참가자 통계, 경찰제도  개편과  순사  모, 조선의 치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본경찰신문  제980(1934. 10. 20.)


 

▲ 일본경찰신문 제470호 기사 조선의 폭동사변에 대해’ (1919. 3. 21.)

470호에 실린 기사 조선의 폭동사변에 대해에서는 3.1운동의 원인을 천도교주와 기타 외국선교사들이 목적하는 바가 따로 있어 종교적 위력으로 민족자결이라는 표어를 내세워 무지한 조선인을 교사,선동하여 폭거에 이르게 하였다라고 진단하고 있다.


또한, 3.1운동 참가자에 관한 다양한 통계 기사가 있는데 조선소요사건 사상자수’, ‘통계에 나타난 조선소요’, ‘조선소요 관공서피해조사’, ‘조선소요 입감자수등이다. 그 중 통계에 나타난 조선소요기사에 의하면 1919521일 현재 조선 전체 수감인원이 4천 명 이상에 달하는데 325일자 조사에서는 2,197명이었다고 한다. 두 달이 채 안되는 사이에 수감자가 두 배 가깝게 증가된 것이다. 또한 325일 조사 기록에 의하면 수감인원은 남자 2,110, 여자 87명이고, 직업별로는 농민 1,047, 사립학교학생 202, 관립학교학생 173, 교사 104, 예수교 목사 33, 예수교 전도사 30, 예수교 관계자 66, 상업종사자 86, 미곡상 51, 노동자 58명 이라고 한다. 수감자의 직업은 점차적으로 학생이 줄고 노동자가 늘어나는 추세라는 분석도 포함되어 있다.


 

일본경찰신문 제476호 기사 통계에 나타난 조선소요’(1919. 5. 21.)


한편, 481조선소요 입감자수에 의하면 429일 조사에서 5,693명이었는데 525일 조사에서는 9,059명이라고 한다. 종교별로는 천도교 1,363, 천리교 3, 시천교(侍天敎) 5, 대종교(大宗敎) 4, 유교 55, 선종(禪宗) 65, 정토종(淨土宗) 1, 불교 기타 40, 천주교 53, 구세군 10, 성공회 4, 장로회 1,441, 안식교(安息敎) 3, 조합교회 7, 이외의 것이 3, 파별 불상(派別不詳)77명으로 조사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계 결과는 시기별 변화를 고찰하는데 있어 아주 중요한 토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일본경찰신문 제481호 기사 조선소요 입감자수’(1919. 7. 11.)



※ 일본경찰신문중 조선관련 주요 기사 목록


번호

호수

코너명

기사명

발행일

1

470

주장

조선의 폭동사변에 대해

1919. 3. 21.

2

470

잡보

조선 총독의 유고

1919. 3. 21.

3

471

잡보

조선사변과 야마가타(山縣) 통감 담()

1919. 4. 1.

4

471

잡보

평양복심법원 사형수

1919. 4. 1.

5

476

잡보

조선 소요사건 사상수

1919. 5. 21.

6

476

잡보

통계에 나타난 조선소요

1919. 5. 21.

7

478

잡보

조선 소요 관공서 피해조사

1919. 6. 11.

8

479

잡보

조선 마츠이(松井) 경관연습소장 담()

1919. 6. 21.

9

480

잡보

조선경무부장회의

1919. 7. 1.

10

481

잡보

조선 소요 입감자(入監者)

1919. 7. 11.

11

481

잡보

경성의 안전시간

1919. 7. 11.

12

482

잡보

조선 소요 진정

1919. 7. 21.

13

486

잡보

조선도순사 채용과 급여

1919. 9. 1.

14

487

잡보

육군대신의 조선헌병대 훈시

1919. 9. 11.

15

487

잡보

조선총독 훈시

1919. 9. 11.

16

487

잡보

조선파견 경부 이하

1919. 9. 11.

17

488

잡보

조선총독의 유고

1919. 9. 21.

18

488

잡보

조선행(朝鮮行) 경시청 순사에 대해

1919. 9. 21.

19

489

잡보

조선 경찰기관 대확장

1919. 10. 1.

20

492

잡보

조선 음모단 검거

1919. 11.15.

21

496

잡보

경성 연말 경계의 포획물

1920. 1. 15.

22

497

잡보

조선 총독의 유고

1920. 2. 1.

23

497

잡보

조선 경찰기관 확장

1920. 2. 1.

24

500

잡보

조선총독부 순사모집 담()

1920. 3. 15.

25

500

잡보

경성 소요기념일 경계

1920. 3. 15.

26

502

잡보

조선 재감자(在監者)

1920. 4. 15.

27

518

잡보

조선 국경 경비 난담(難談)

1920. 12.15.



3.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관련 기록물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성립 배경 및 다양한 활동에 관한 자료를 국문학연구자료관외무성 외교사료관방위성 방위연구소 등에서 수집하였다이를 통해 공개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관계문서상해임시의정원 및 임시정부의 성립과정과 활약일제 정보자료에서 파악한 활약상 등의 관련기록물은 다음과 같다.


1) 대한민국 임시정부 공보철(모리야 문서)

동경 다치카와(立川)시에 있는 국문학 연구 자료관에는 사이토 마코토 조선총독의 비서관과 참사관을 지낸 모리야 에이후(守屋榮夫)의 개인문고가 소장되어 있다주로 문서와 서적들로 구성된 이 문고는 18,000건에 달하는 방대한 양의 자료로 구성되어 있고그 중 모리야 에이후 문서목록 1속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공보관계철이라는 자료가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공보는 임시정부에서 공식적인 기관지로 발행한 관보로임시정부를 이해하는 데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다총 87개호가 발행되었고 현재 호외 포함 79개호가 파악되고 있으며정규 25개호는 미 발굴 상태라고 전해진다모리야 문서의대한민국 임시정부 공보관계철에는 미 발굴 공보인 제16호에서 발표한 문서 3건이 포함되어 있다해당 문서는 군사경위근무조례’, ‘공채모집위원에 관한 규정’, ‘임시 주외 재무관서관제’ 이다문서 내용은 국사편찬위원회 소장불령단관계잡건-조선인의 부-재상해지방2문철 안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이지만 순서와 페이지 구성 등이 모리야 에이후에 의해 재구성 된 것으로 보인다.

이 문서를 통해 아직 발굴되지 않은 공보 제16호가 1920년 4월 27일에 발간되었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기사 내용의 일부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수집 의의가 있다.


 

공보 제16

● 내용: 교령 제4호 임시주외재무관서관제

● 1920427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공보 제16호에서 발표


모리야 문서 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공보철에는 공보에 수록될 수 없는 성격의 일제당국의 밀탐 정보 문서도 포함되어 있어, 공보철 이라기보다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관계된 문서의 성격이 강하며, 대부분 임시정부의 군무 및 재무 상황과 관련된 법령이나 조례 등의 문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2) 아시아·아프리카 국제관계정치사회사

일본의 국제정치학자인 우라노 다츠오(浦野起央)1998년부터 책임 편집한 자료집으로서, 아시아·아프리카의 근현대사를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1차적인 문헌자료를 근거로 하여 편성한 자료집이다.

이 자료집에는 일제강점기와 임시정부에 관련된 자료가 총 378점 수록되어 있으며, 그 중 상해 임시의정원에 관련된 자료를 우선 34점을 수집·번역하였다. 이들 대부분은 한국근대사에서도 가치 있는 사료로서 각종 자료집이나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에서도 검색할 수 있지만, 아래 간략히 소개하는 신한민국정부의 약법외에도 대한민국 임시정부 각료의 격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 이동휘의 조국광복에 관한 서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의 유고등 국회도서관이 최초로 공개하는 4개 자료의 상세한 내용은 해제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자료명

내용

신한민국정부의약법(1919. 4. 17.)

1조 신한민국은 대한인(大韓人)으로 조직한다.

2조 신한민국의 주권은 대한인민 전체에 있다.

3조 신한민국의 강토(疆土)는 구한제국(舊韓帝國)의 판도(版圖)로 정한다.

4조 신한민국의 인민은 일체 평등하다.

5조 신한민국의 입법권은 의정원(義政院)이 행정권은 국무원(國務院)이 사법권은 법원(法院)이 행사한다.

6조 신한민국의 주권행사는 헌법의 범위 안에서 이하 각항의 자유를 향유(享有)한다.

1. 신교(信敎)의 자유

2. 재산의 보존과 영업의 자유

3. 언론·저작·출판·집회·결사의 자유

4. 거주이전의 자유

7조 신한민국은 구() 황실을 우대한다.


3) 일본 외무성 외교사료관 문서

일본 외무성 외교사료관은 막부말 이래 1980년대 후반까지의 일본 외교 사료를 소장하고 있는 외무성의 공문서관이다. 여기에 소장된 자료는 외무성 외의 기관이 공적인 목적으로 작성 및 보관해 온 외교사료와 단체 및 개인에게 기증받은 개인문서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 패전 전 외무성 기록은 외무성의 외교 문서를 주제 또는 사건별로 편철한 기록으로 일본 영사관경찰의 보고서 등 항일운동 관련 자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 기록물들은 항일민족운동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우리나라의 국사편찬위원회, 국가보훈처 등에서도 다수의 자료를 수집·선별하여 자료집으로 간행하고 있다.


외무성 외교사료관 전경과

 전시실 내부[출처: 외교사료관 홈페이지]


잠칭의정원의 위원회 상황

192412월에 발행한 관동청경무국 제1, 2순보 치경(治警)’부분에는 상해임시의정원을 잠칭의정원으로 낮춰 부르며, ‘잠칭의정원의 위원회 상황’, ‘독립신문사 임원이동’, ‘불령선인 선지침입설’, ‘공산당 시위운동등의 정보를 보고하고 있다. 그 내용으로 임시의정원에서 한인 독립운동가 대표들을 상해에 소집하기 위해 소집통지서의 형식과 방법을 설비하고 대표자 체재 중의 비용 부담 방법과 위원회에 제의해야 할 사항 등을 협의하였다는 소식을 싣고 있다. 또한 박은식의독립신문사장 취임소식, 블라디보스톡 공산학교건설 소식 및 시위운동에 관한 내용의 정보를 담고 있다.


 

관동청경무국 순보.

 

 잠칭의정원의 위원회 상황, 독립신문사 임원 이동(1924. 12.)


4)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 문서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에서는 전쟁사의 조사연구와 편찬을 위해 육해군에 걸친 사료를 수집해 왔으나 전쟁이 끝나면서 사료 대부분이 소각되거나 산실되었다. 나머지는 미군이 압수하여 미국국무성 공문서관에 보관하다가, 19584월에 반환되어 육·해군관계, 전사총서(戰史叢書)등의 공문서류 약159,000권을 방위연구소에서 소장하고 있다. 일본 육군성이 발·수신한 문서에는 한국 민족의 국내외 독립운동과 관련한 보고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방위성 방위연구소 전경과

 

 열람실 내부[출처: 방위연구소 홈페이지]



재만 불령선인의 정황

19324월 작성된 문서로 만주에 있는 민족주의적 성향인 조선인의 근황에 대한 보고서 형태의 자료이다. 문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부록은 만주국 정부 민정부 경무상원 모씨의 작업이라고 하였지만, 실제 부록에서는 모 조선인의 보고에 의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당시 조선인들의 독립운동단체 가담 동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경제적 원인(실업, 재정상의 실패) 49%,

정치적 불평(망명, 도주포함) 25%,

개인적 사정(가정문제, 교육, 개인적 원인) 23%,

기타 3%


따라서 재만 조선인의 독립운동 가담 방지 대책으로는 실업 대책 즉, 조선인 취업에 관한 적극적 검토를 권장하고 있다.

또한 만주사변 후의 민족주의자와 공산주의, 사회주의자들의 결의 사항 등에 대한 보고와 극동 정책의 전환에 따른 공산당의 활약은 만몽 치안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경고를 담고 있다.

이 외에 19324월 조사된 중국공산당 관계 단체를 제외한 재만 불령선인 단체 일람표를 도표로 제시하고 있다.


 


 

재만 불령선인의 정황(1932. 4.)

 



불령선인단총람

19253월 관동군 참모부에서 작성한 문서로, 국회도서관에서는 해제집을 통해 최초로 공개하는 자료이다. 이 문서 안에는 1925년에 조사하여 작성된 6가지의 분류 조사표 및 그림이 실려 있다. 바로 불령선인단총람’, ‘1918년 이후의 불령선인단 존속 일람표’, ‘1924년 중 불령선인에 의한 재만선인 피해 통계표’, ‘불령선인단 세력 비교도’, ‘불령선인단 계통 연락도’, ‘불령선인단 분포요도이다.

이 중 불령선인단 세력비교도’, ‘불령선인단 계통 연락도’, ‘불령선인단 분포 요도를 수집하였다.


 

불령선인단 세력비교도

 

불령선인단 계통 연락도

령선인단 분포 요도


불령선인단 세력 비교도에서는 작성자인 관동군 참모부의 공산당 세력에 대한 지나친 경계감이 과장되게 반영된 것인지, 상해가정부의 ‘100에 대해 전로공산당의 세력은 ‘4500으로 45배나 크게 판단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또한 불령선인단 계통 연락도는 중국에서는 상해가정부, 만주에서는 정의부를 중심으로 계통연락도를 그리며 만주와 중국 관내 독립 운동 세력의 대립과 갈등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불령선인단 분포 요도는 만주, 상해, 하와이,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소재 주요 독립운동 조직을 지도상에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표기하였다.


한국임시정부가 중국 국민에게 보내는 글

19211020, 신문태평양일간에 실린 대한민국 임시국무총리 대리 신규식이 중국 국민을 향해 호소한 글이다. 한국의 독립문제를 워싱턴회의에 정식으로 제출해 줄 것과 국제 조약에 근거한 한국의 독립은 중국을 위함도 될 터이니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길 희망한다는 두 가지 내용의 호소문 형식이다.

워싱톤 군축회의또는 태평양회의등의 명칭으로 19211112일에서 192226일까지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회의에는 미국·영국·일본·프랑스·이탈리아·네덜란드·벨기에·포르투갈·중국 등 9개국이 참석하였다. 이 회의 의제는 해군군비제한 문제와 태평양 및 극동에 관한 문제로 크게 나누어졌다. 당시의 국제여건과 이 회의의 성격 상 도저히 한국을 비롯한 필리핀·인도네시아·베트남 등의 독립을 토론할 상황은 아니었다. 따라서 1929년 조선의열단의3.1운동 10주년선언에서는 이 회의에 대해 간단명료하게 제국주의자들이 (장물을 서로 나누는) 분장회의(分贓會議)였다고 규정할 정도였다.

이런 사실을 간파하지 못한 당시의 독립 운동가들은 이와 같은 호소문을 작성하여 신문에 올리기도 하고, 국제적 감각이 뛰어난 지식인들을 워싱턴에 집결시키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지만 결국 뜻을 이루지 못했다.


 

본문과 맺음말

 

표지(제목 및 송신자)



4. 임시의정원 관련 인물의 활약상

 

임시의정원의 초대의장 이동녕부터 제20대 의장 홍진에 이르기까지 임시의정원에서 활약한 임원 및 의원은 계파와 활약장소, 사상적 성격과 방법 등이 조금씩 다른 면도 있겠지만,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 출신이라는 점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독립운동가의 흔적을 찾아가면 대부분 임시의정원 및 임시정부와 접점을 같이 하는 시기가 존재하고, 연통제(임시정부와 국내·외 업무상 연락을 위한 비밀행정조직)라는 제도 안에서 서로를 묶을 수 있는 단서가 발견되곤 하였다. 1932년 이봉창, 윤봉길 의사의 의거에는 백범 김구 주석의 지원이 배경이 되고 있다. 이하의 외무성 외교 사료관에 소장되어 있는 일본 측 정보 자료 문서에서 백범 김구 주석과 이봉창, 윤봉길 의사의 행적을 찾을 수 있다.


1) 윤봉길 의사 사형집행 반대의견

윤봉길 의사는 1932429일 홍커우공원 의거 직후 체포되어 525일 상해 파견군 사령부 군법회의 예심에서 사형선고를 받았다. 이 의거로 상해 일본거류민단장 가와바타(河端貞次)가 즉사하고, 상하이 파견군 시리카와(白川義則)대장이 사망, 노무라(野村吉三郞) 사령관·우에다(植田謙吉) 사단장·시게미쓰(重光葵) 주중공사·무라이(村井) 총영사 등이 중상을 입게 되자 일본군 내부에서는 즉각적인 사형 집행을 강하게 요구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 상해 이시이(石井) 총영사가 당시의 외무대신인 우치다에게 921일에 사형집행에 대한 반대의견의 내용으로 전보를 보냈다. 이시이 총영사의 입장은 즉각적 사형집행에 따른 윤봉길의 영웅화에 대한 여론을 우려하기 보다는 한인애국단장 김구 체포를 위한 목적으로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다만, 상해 현지의 시설과 규정에 의해 계속 상해에 둘 수는 없으니 일본으로 이송해서 합당하게 구금해두고 싶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실제 윤봉길의사는 이후 1118일 일본 오사카[大阪] 위수형무소로 이감된 후, 1218일 가나자와[金澤] 형무소로 옮겨져 19일 총살되었다.


 

윤봉길 의사 사형집행 반대의견(1939. 9. 21.)


2) 시라카와 대장 전상사 판정이유

윤봉길 의사의 의거로 시라카와(白川) 대장이 사망한 사건에 대해 당시의 육군성 무라야마(村山) 대위가 외무성 사사하라(笠原) 이사관에게 보낸 문서에서 전상사(전쟁에서 부상당하여 사망함)’로 처리해야 하는 이유와 그에 대한 설명을 첨부하였다.


  

시라카와 대장에 대한 전상사

 

 처리 승인 요청과 판정이유


3) 김구의 소재수사

1932317일 상해 무라이(村井) 총영사가 요시자와(芳澤) 외무대신에게 보낸 기밀문서로 김구의 소재수사’, ‘수류탄 입수경로’, ‘신보(申報)에 게재된 이봉창 사진에 대해’, ‘백정선의 실체에 대해’, ‘불조계당국의 태도등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는 9페이지로 구성된 문서이다. 이봉창 의사 의거에는 백범 김구가 그 배경에 있는 것을 확신하며 김구의 일거수일투족을 철저히 감시하고, 그에 대한 각 언론의 보도 또한 면밀히 검토하며 체포에 힘을 기울이자는 내용이 담겨 있다.

불조계당국의 태도에서는 프랑스가 일본의 강경한 요구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임시정부에 대해 옹호해 주지 못하는 면이 있으니 임시정부 측에서는 자중경계하기 바란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전하며, 일본은 프랑스 당국의 태도를 긴밀히 주의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기밀문서의 첫 머리와 김구의 소재 수사에 관한 내용

 

(1932. 3. 17.)



지금까지 소개한 기록물들은 20194월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에서 발간 예정인(대한민국 의회정치의 시작) 임시의정원 개원 100주년 기념 해제집 - 일본·대만편에 수록될 기록물의 일부이며, 해제 내용을 일부 참고하였다. 각 기록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해제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정보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한민국 임시정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01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일본국립국회도서관

http://www.ndl.go.jp/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

http://www.nids.mod.go.jp/index.html

일본 외교성 외교사료관

https://www.mofa.go.jp/mofaj/annai/honsho/shiryo/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