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일본군 위안부 컬렉션
  • 개관/연표
개관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으로 세상에 밝혔습니다.
이를 계기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위안부 피해 증언이 잇달았고,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의 실상이 수면 위로 올라왔습니다.
이후 위안부 문제를 정확히 조명하고 피해 할머니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많은 연구와 활동이 이어져왔습니다.
국회기록보존소는 위안부 관련 법률 및 입법활동 자료, 연구자료, 영상자료와 국회 주요 기록물 등 국회에서 생산한 다양한 자료를 아카이빙하여
일본군 ‘위안부’ 컬렉션을 구축하였습니다.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으로 세상에 밝혔습니다.
이를 계기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위안부 피해 증언이 잇달았고,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의 실상이 수면 위로 올라왔습니다.
이후 위안부 문제를 정확히 조명하고 피해 할머니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많은 연구와 활동이 이어져왔습니다.
국회기록보존소는 위안부 관련 법률 및 입법활동 자료, 연구자료, 영상자료와 국회 주요 기록물 등 국회에서 생산한 다양한 자료를 아카이빙하여 일본군 ‘위안부’ 컬렉션을 구축하였습니다.
연표
위안부 연표
영상 : 기록으로 보는 일본군 '위안부'
국회기록보존소에서는 <기록으로 보는 일본군 ‘위안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이옥선 할머니의 ‘영원한 증언’>을 주제로 두 편의 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
※ 영상 제작에 사용된 고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은 저작권법 제50조에 의거하여 이용 승인을 얻은 저작물입니다.(법정허락-2023. 1. 30.)
국회기록보존소에서는
<기록으로 보는 일본군 ‘위안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이옥선 할머니의 ‘영원한 증언’>을 주제로
두 편의 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
※ 영상 제작에 사용된 고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은 저작권법 제50조에 의거하여 이용 승인을 얻은 저작물입니다.(법정허락-2023. 1. 30.)

기록으로 보는 일본군 '위안부'

 

8월 14일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1991년 고 김학순 할머니가 처음 증언을 한 날이다. 2017년 위안부피해자법 개정을 통해 국가 기념일로 지정되었다. 국회에서의 법률안 제·개정 및 결의안 채택을 중심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과 피해자 지원을 위한 활동의 발자취를 영상으로 제작하였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이옥선 할머니의 AI '영원한 증언'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일본군 ‘위안부’ 문제연구소와 서강대학교 ‘영원한 증언’팀이 제작한 피해자 할머니들의 증언을 인터랙티브 콘텐츠로 구현한 ‘증언을 만나다’ 전시장을 찾아가 이용수, 이옥선 할머니와의 인터뷰를 영상으로 담았다.

 

기록으로 보는 일본군 '위안부'

 

8월 14일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1991년 고 김학순 할머니가 처음 증언을 한 날이다. 2017년 위안부피해자법 개정을 통해 국가 기념일로 지정되었다. 국회에서의 법률안 제·개정 및 결의안 채택을 중심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과 피해자 지원을 위한 활동의 발자취를 영상으로 제작하였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이옥선 할머니의 AI '영원한 증언'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일본군 ‘위안부’ 문제연구소와 서강대학교 ‘영원한 증언’팀이 제작한 피해자 할머니들의 증언을 인터랙티브 콘텐츠로 구현한 ‘증언을 만나다’ 전시장을 찾아가 이용수, 이옥선 할머니와의 인터뷰를 영상으로 담았다.